일상정보

2025년 독거노인·장애인 응급안전안심 서비스 신청 방법 및 혜택

가치있는 공간 2025. 3. 30. 13:00
반응형

 

독거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응급상황 대응 서비스 정부지원으로 부담없이 이용가능 합니다!
2025년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꼭 체크하고 신청 방법과 혜택을 알아보세요.

 

서비스 목적

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(ICT)을 활용하여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가정에 응급상황을 감지하는 장비를 설치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서비스입니다.
2024년에는 약 24만 가구에 기기를 설치하여 15만 5천여 건의 응급상황을 처리했습니다.

 

신청 대상

  • 독거노인: 만 65세 이상 혼자 거주하는 노인 (소득 기준 폐지)
  • 노인 2인 가구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기초연금수급자 중 한 명이 질환을 앓거나 거동이 불편한 경우 또는 부부 모두 75세 이상.
  • 조손가구: 65세 이상 노인과 24세 이하 손·자녀로 구성된 가구.
  • 장애인: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로 혼자 거주하거나 가족 모두가 장애인인 경우.

제공 서비스 및 장비

  • 화재 감지: 화재감지기가 자동으로 119에 신고.
  • 응급 호출: 화장실이나 침실에 설치된 호출기로 버튼 또는 음성으로 신고 가능.
  • 활동량 감지: 움직임, 심박·호흡을 측정하여 쓰러짐 감지.
  • 주요 장비: 게이트웨이, 활동량 감지기, 응급 호출기, 출입문 감지기.

신청 방법

  • 방문 신청: 거주지 관할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노인복지관 방문.
  • 전화 신청: 해당 기관에 전화 후 신청서 작성 필요.
  • 우편/팩스 신청: 신청서 작성 후 제출.
  • 신청 가능자: 본인, 가족, 친족(8촌 이내 혈족), 이해관계인(이웃 등).

처리 절차

  1. 신청 후 처리: 30일 이내 처리 (장비 수량 충분 시).
  2. 예비 대상 관리: 장비 부족 시 추후 지원.
  3. 자격 미달 안내: 전화 또는 문자로 안내.

2025년 주요 변경사항

  • 독거노인 소득 기준 폐지: 모든 독거노인이 신청 가능.
  • 서비스 범위 확대: 일부 지역에서 전국으로 확대 (예: 인천 중구).
  • 본인 부담 서비스 도입: 지원 대상 외 가구도 본인 부담으로 이용 가능 (2025년 4분기 예정).

기대 효과

  • 응급상황 대응 건수: 연간 약 15만 5천여 건 처리.
  • 서비스 확대 목표: 신규 대상자 발굴 목표 (예: 인천 중구 300세대).

문의 및 상담

  •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: ☎ 044-202-3459
  • 보건복지 상담센터: ☎ 129
  • 중앙모니터링센터: ☎ 1566-3232
  • 지역별 노인복지관 상담 가능 

 

반응형